현재 정부는 사회적 농업social farming 실천을 지원하는 정책사업을 ‘돌봄농장 지원사업’이라고 부른다. 정확하게는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사업〉이라는 명칭 아래에 묶인 여러 지원 대상 중 하나로 ‘돌봄농장’을 설정한 것이다. 원래는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이라고 부르던 것을 2023년부터 명칭을 바꾸었는데, 그 이유가 석연치 않다. 명칭을 바꿔 달라는 현장의 요구가 있었던 것도 아니고, 심지어 담당 정부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의 관계자가 요청한 것도 아니었다. 예산 편성권을 지닌 기획재정부의 관계자가 ‘사회적’이라는 말에 부담을 느껴서 사업 명칭을 바꾸라고 요구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
···2025년 1월 평소에 방문할 일 없는 거점농장을 방문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인천 거점농장인 농업회사법인 (주)콩세알(이하 ‘콩세알’로 약칭)을 방문했습니다. 2024년에 만든 〈농촌공동체와 지역 자원을 활용한 복지인식 조사 보고서〉를 보았습니다. 부러웠습니다. ‘역시 선배는 다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콩세알은 전남 거점농장인 여민동락 영농조합법인의 도움을 받았다고 했습니다. ‘고민만 하고 있던 걸 실천하시는구나!’ 감탄이 나왔습니다. 다온영농조합법인에서도 도전해보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나를 돌보고 이웃을 돌보는 ‘경남산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 건강한 사람들 / 박인자 (경남산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경영이사)
경남산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하 ‘산청의사협’으로 약칭)은 이름 그대로 의료복지가 필요한 사람들이 만든 협동조합입니다. 경남 산청군 주민 1,000여 명, 진주시와 경남 시민 300명, 그 조합원 200명으로 1,500명(2025년 4월 현재)의 조합원이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
‘농촌이 소멸되어 간다’, ‘농촌이 초고령화되어 간다’, ‘농촌에서 아이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라는 뉴스는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닙니다. 경남 김해시도 예외가 아닙니다. 김해시 74.4%의 면적이 농촌입니다. 김해시에는 보건소와 병원이 총 502개가 있습니다만, 431개가 25.6% 면적을 차지하는 도시에 있고 71개만 농촌에 있습니다. ···
···정말 말 그대로 농사의 ‘농’자도 몰라, 강사는 부지런히 설명해도 말뜻을 알아듣지 못해 매번 수업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모두 오합지졸이었지만, 정이 그리운 사람들이라 빨리 친해졌다. 강사는 제주 출신에, 다양한 교육을 받아서 그 경험과 기술을 전수하고 싶어 했다. 모인 분들은 제주에서 살며 어려운 점으로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환경과,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제주 사투리 때문에 지역민과 관계를 이어갈 수 없다는 걸 꼽았다. ···
···2018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사회적 농업 보조금은 매년 9~18개 단체를 선정해 지금까지 보조금을 받은 농장이 114개에 달합니다. 이 보조금은 선정 후 5년 동안 지원이 되기 때문에 2018년, 2019년에 선정된 18개 농장은 보조금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우리는 궁금했습니다. 이 농장이 사회적 농업을 지속하고 있는지. 지속하고 있다면 어떤 요인이 사회적 농업을 지속하게 하는지. 그래서 대산농촌재단 연구 과제로, 사회적 농업 지원 종료 농장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
···나는 ‘농촌 주민 생활돌봄 공동체’ 실천이 현재의 ‘돌봄 위기’를 맞아 제출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對案, counteroffer)정도가 아니라 농촌 지역사회와 돌봄에 대한 시각 자체를 새롭게 바꿀 대안(代案, alternative)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글에서는 농촌에서 공적 돌봄만으로는 복지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운 현실을 진단한다. 그리고 농촌 지역사회 주도의 생활돌봄 실천이 가져올 수 있는 변화를 논의한다. ···
정부가 사회적 농업을 지원하는 정책사업을 시작한 지 7년이 지났다. 그렇지만 사회적 농업 실천 앞에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처음에는 이 생소한 실천의 의미를 누군가에게 설명하기도 어려워서, 전국적인 확산을 감히 기대하기 어려웠다. 누군가의 도움이 절실하게 필요했다. 관심을 가질 만한 농민이나 농촌 지역사회의 여러 행위자(농촌의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기관, 단체, 주민, 농촌 지방자치단체 등)에게 ‘사회적 농업’을 알리고 동참을 권유하고, 사회적 농업을 실천하기 시작한 농민에게 필요한 지식이나 정보를 전하면서 조언하며, 농촌 지역사회 안에서 사회적 농업을 둘러싼 통합과 협력의 연결망(network)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사람들이 필요했다.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사회적 농업 거점농장 체계’를 형성한 이유다. ···